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르는 사람이 내 사진 본다고?"…삼성·애플, 스마트폰 보안 강화 경쟁
    카테고리 없음 2022. 7. 28. 15:10

    삼성, 갤럭시 폰에 '수리 모드' 추가…애플, '잠금모드' 도입해 해킹 시도 원천 차단

     

    삼성전자와 애플이 스마트폰 보안 강화에 사활을 걸었다. 스마트폰이 지갑, 신분증, 열쇠 등의 기능을 도맡게 되면서 보안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어서다.

     

    삼성전자는 28일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수리 모드' 서비스를 정식 공개했다.

    '수리 모드'는 스마트폰을 수리할 때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공개할 수 있게 해 일부 사설업체 등을 통한 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접근이나 유출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스마트폰 '설정'에서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메뉴 중 '수리 모드'를 실행하면 스마트폰이 재부팅 된다. 이후에는 사진과 메시지, 계정 등 개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고 기본 설치 앱만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수리가 끝난 뒤 패턴·지문 인식 등을 거쳐 사용자가 '수리 모드'를 종료하고 재부팅을 하면 다시 개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우선 갤럭시S21 시리즈부터 소프트웨어(Software) 업데이트를 통해 '수리 모드'를 도입한다. 추후 일부 다른 기종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삼성전자는 민감한 개인정보의 보호와 보안을 강화하는 기능을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기기에 잇따라 추가하고 있다.

     



    작년에는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독자적인 저장 공간에 보관해 다양한 공격을 차단해주는 정보 보호 기술인 '삼성 녹스 볼트(Samsung Knox Vault)'를 공개했다. 지난 5월에는 보이스피싱에 악용되는 스마트폰 악성 앱 설치를 차단하는 새로운 보안 솔루션을 공개했다.

    신승원 삼성전자 MX사업부 시큐리티팀 상무는 최근 삼성뉴스룸에 게재된 기고문에서 "기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세계를 가깝게 연결해주고 있지만 그에 따른 위험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며 "삼성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이 새로운 경험을 시도하는 동안에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