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이미 ‘애플 페이’(ApplePay)서비스 하나만으로도 세계 최강의 핀테크 업체다. 일단 글로벌 사용자수에서 압도적이다.
최근 애플이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러시아에서 ‘애플 페이’를 중단하자 모스크바 시민들이 결제가 막힐 경우 사용할 현금 확보를 위해ATM으로 달려가는 모습은 이를 상징한다.
이러한 애플이 더 깊고 강하게 ‘글로벌 디지털 금융 서비스’ 또는 ‘글로벌 핀테크’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미래 금융시장’을 위한 인프라뿐만 아니라 독자적으로 결제 기술을 구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은 그동안 핀테크 부문은 이 분야의 전문 파트너와 협력해왔는데 이젠 독자적으로 하겠다는 것이다.
이 여파로 애플과 각각 파트너 관계였던 카드관리 플랫폼 업체인 코어카드, 선불 직불 카드 및 현금 재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린닷컴퍼니의 주가는 동시에 폭락했다.
◆글로벌에 퍼져있는 수많은 애플 사용자… ‘애플 뱅크’의 잠재 고객
전문가들은 애플이 이제 전세계에10억대 이상 퍼진 고객 접점을 이용해, 기존보다 더 많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만한 상황이 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여기서'10억 대'라는 의미가 아이폰 사용자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아이폰, 아이패드 등iOS를 사용하는 모든 애플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한국을 비롯한 세계 많은 나라에 퍼져있는 아이폰 사용자들은 머지않은 장래에 ‘애플 뱅크’(BankofApple)의 고객이 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외신에 따르면 애플이 독자 개발하고자하는 핀테크서비스의 범위는 사실상 현재의 은행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무엇보다 지불 및 결제를 수행하기위한 계정계시스템의 개발은 뱅킹서비스를 위한 기본이며 핵심 기능이다. 여기에 대출 리스크 평가(리스크관리시스템), 금융 사기분석시스템과 같은 인텔리전스 시스템, 그리고 신용 조회 및 분쟁 처리를 위한 대고객 서비스까지 갖추겠다는 것이다.
이미 애플은 지난 수년간 '애플 카드', '애플 페이'와 같은 핀테크 서비스를 진화시켜왔다. 또한 애플은P2P(개인간)금융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