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쏘카, 차량공유 매출 31% 성장…"통합 슈퍼앱으로 고속성장 지속"카테고리 없음 2022. 3. 31. 17:02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쏘카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이동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30%가 넘는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는 지난해 차량공유(카셰어링) 사업 매출이 2849억원으로 전년(2177억원)보다 30.9% 상승했다고 31일 밝혔다.
쏘카는 2020년 여객운수법 개정으로 VCNC가 수행해온 타다 베이직 사업을 중단함에 따라 라이드헤일링사업을 중단사업으로 분류, 계속 사업인 카셰어링 사업 매출을 기준으로 실적을 집계했다.
영업손실은 2020년 38억원에서 지난해 84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자동차보험 상품 변경으로 인한 1회성 비용 약 20억원을 제외하면 영업이익률은 2020년과 동일한 -1.7%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지속되며 출근·등교·출장·여행 등 이동 수요가 크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와 모빌리티 기술을 결합해 수요를 견인하고 성장세를 높일 수 있었다.
운영차량은 전년 1만3000대에서 지난해 1만8000대까지 확대, 전국 110여개 도시에 4000여개 쏘카존으로 차량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회경제 데이터에 차량이용 데이터를 결합해 차량의 배치·운영·예약·관리 등 시스템을 고도한 덕에 이용시간·이용거리 등의 주요 지표가 모두 상승했다.
지난해 쏘카 이용시간은 전년도에 비해 31.7%, 이용거리는 25.9% 상승했다. 카셰어링 이용 1건당 이용시간은 14.7%, 이용건당 이용거리는 9.6% 상승했다.
지난해에는 국내 모빌리티 기업 최초의 멤버십 서비스 출시에 힘입어 소비자들의 충성도가 높아지고 원하는 곳으로 차량을 배달해주는 부름 서비스도 빠르게 자리잡으며 새 성장동력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6월 출시된 패스포트 가입자는 3월 현재 13만명까지 빠르게 늘어나면서 실적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지난 2월 패스포트 가입자가 전체 이용건수의 38.9%를, 이용시간의 44.4%를 담당했다.
연간 2만9900원으로 패스포트를 구독한 이용자는 쏘카 이용시 상시 이용요금 50% 할인, 월 1회 주중 24시간 무료이용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패스포트에 가입하면 7만원 상당의 웰컴 패키지는 물론 패션, 신용카드, 외식, 쇼핑몰 등 다양한 기업과 제휴를 통해 다양한 가치가 제동된다.
짐이 많거나 원하는 차종을 골라서 이동하고자 하는 고객들을 위해 차량을 배달해주고 출발지와 목적지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는 부름 서비스 이용 건도 1년새 30.3%나 증가했다.
월단위 차량 이용상품인 쏘카플랜은 신차 출고지연, 중고차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수요급증과 서비스 지역 확대, 이용시점 최적화 등 서비스 고도화에 힘입어 큰 폭으로 성장했다.
2019년 10월 출시이후 2020년말까지 15개월간 누적계약 3000건에서 지난해 1년 동안에만 누적 계약건수가 1만건에 달할 정도로 가파르게 성장했다.
기업 대상 상품인 쏘카비즈니스는 지난해 출근, 출장이 크게 줄었음에도 1년새 매출은 39%, 이용건수와 이용시간은 각각 45%, 74%로 크게 늘었다.
쏘카는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행복하게 이동하는 세상을 만드는 '스트리밍 모빌리티' 전략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구현해 나갈 방침이다. 우선 전국의 주차장 정보와 할인, 앱 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두의주차장'과 전기자전거로 단거리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레클'을 올 하반기에 쏘카 앱으로 통합할 계획이다. 또 출발지에서 빌리고 목적지에서 반납하는 편도 서비스를 확대하고, 서울 지역을 시작으로 출발 30분 전 예약 차량을 원하는 장소로 배달해주는 등 이용자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쏘카는 이를 위해 올해 신규 차량을 6000대 이상 구입하는 한편 현재 500여대 수준인 무공해 차량도 1000대 규모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박재욱 쏘카 대표는 "지난 10년간 카세어링 선도 기업으로 구축한 기술·데이터·고객경험 등 기술로 이동을 서비스화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더 쉽고 가치 있게 이동할 수 있는 스트리밍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