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선콕콕] 'n번방 방지법' 논란 수면 위로...보완 논의 '깜깜'
    카테고리 없음 2021. 12. 19. 15:34

    'n번방 방지법', 여야 대다수 찬성으로 통과
    윤석열·이준석 "카톡 검열법" 비판 나서
    이재명 "불가피한 조치…합의 따라야"
    공개된 채팅방 등에만 적용…"실효성 의문"[앵커]


    성 착취 범죄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이른바 'n번방 방지법'이 다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이 검열 우려가 있다며 재개정을 촉구하고 나서면서 실효성 논란에도 불이 붙은 겁니다.

    논란은 재점화됐지만, 정작 법 보완 논의는 미뤄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박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성 착취 영상물들이 온라인에 횡행하는 현실이 드러나며 사회에 충격을 던지자, 지난해 5월, 여야 대다수 의원의 찬성으로 'n번방 방지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주승용 / 당시 국회부의장 (지난 2020년 5월) : 재적 178인 중 찬성 170인, 반대 2인, 기권 6인으로서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대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이어 지난 10일 법이 시행되면서, 인터넷 사업자들은 성 착취 영상을 삭제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처벌을 받게 됐습니다.

    그런데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이준석 대표와 함께 카톡을 검열하는 법이라고 비판에 나서면서 논란이 다시 가열됐습니다.

     


    성 착취 영상을 잡아내기 위해 카톡방 영상을 지나치게 들여다보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이준석 / 국민의힘 대표 (지난 13일) : (이재명 후보는) 카톡 검열법에 대해서 모든 자유엔 한계가 있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궤변으로 옹호했습니다. 이 법안은 재개정을 통해 현실적으로 바뀌어야만 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타인에게 고통을 주는 걸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조했고,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11일) : 내가 즐겁자고 하는 일이 타인에게 고통 주면 안 되는 거죠. 법률의 한계가 있는 겁니다. 우리가 합의했잖아요. 합의했으면 그 합의에 우리가 따라야죠.]

    방통위도 디지털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걸러내기 때문에 영상을 하나씩 들여다보는 게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물론 'n번방 방지법'에 통신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위헌적 요소가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검열 논란은 법 제정 때부터 나오면서 적용 대상이, 공개된 채팅방과 인터넷 커뮤니티만으로 한정돼 있습니다.

     


    때문에, 오히려 전문가들이 문제를 제기해왔던 부분은 실효성 여부입니다.

    [구태언 / 변호사 : 공개된 대화에 오고 가는 파일들을 검열하는 것인데 실제 범인들은 공개 게시판에서 성 착취 물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이 법으로 성 착취 물의 유통을 막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대선을 앞두고 여야 모두 성 착취 영상에 대한 분노 여론이나, 검열에 대한 공포 여론에만 편승하다 보니 진지한 보완 논의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조은호 / 민변 여성인권위원회 변호사 (n번방 피해자 공동대리인) : 피해자 보호에 대한 논의가 빠진 점이 현재 정치권 공방의 가장 큰 문제점인데요. 특정 사건의 명칭이 이미 붙었잖아요. 다시 한 번 화제가 되면서 촬영물을 검색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2차 피해가 벌어지는 거거든요.]

    대선을 앞두고 치열한 논쟁을 통해 법의 보완책을 만들어나간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표를 의식해 특정 계층의 감정에만 호소하는 선거 전략이라면 갈등만 부추기고 끝날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YTN 박서경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