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이 '한국형 NASA' 최적지"
매경 대전·세종 CEO포럼
韓 우주경제 이끌 우주항공청
인재 몰려 있는 대전에 세워야
세계적 산업 경쟁력 갖추려면
연구중심서 사업 위주 전환을
최근 윤석열 정부가 우주항공청 설립 등을 골자로 하는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선포한 가운데 대전·세종권 기업인들이 우주항공 정책 컨트롤타워가 될 우주항공청을 대전·세종권에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정부는 국정과제에 우주 클러스터를 경남·전남·대전 3각 체제로 구성하고, 우주항공청은 경남 사천에 설립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상황이라 귀추가 주목된다.
3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매경 대전·세종 CEO포럼' 참석자들은 정부의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에 큰 관심을 드러내며 대전·세종권이 우주항공청 설립 적지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8일 한국형 NASA(미 항공우주국)인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광복 100주년인 2045년에 국내 기술력만으로 탐사선을 화성에 착륙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대전·세종권 기업인들은 정부의 구상을 환영하면서도 우주항공청 본부는 대전·세종권에 오는 것이 맞는다고 강조했다.
조웅래 맥키스컴퍼니 회장은 "우주 관련 정책은 시너지 효과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지식·두뇌 기반 도시라는 최대 장점을 지닌 대전·세종에 우주항공청이 오면 시너지 효과가 배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13개 우주 분야 정부출연기관이 소재하고 카이스트와 충남대, 한밭대, 공주대 등이 우주 분야 인재 육성에 특화된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소형인공위성 개발 기술을 보유한 쎄트렉아이 등 60여 개 우주 관련 기업도 위치해 다른 도시와 비교해 월등한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공위성 아리랑 1호 제작과 아리랑 2호 설계에 참여했던 최영종 이노윌 대표는 "우주항공청은 단지 우주항공 분야 생산기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공위성, 발사체, 천문우주, 기상, 광학, 통신, 국방 등의 분야에서 정책과 예산, 설계, 제작, 시험평가 등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면서 "다양한 인재들이 모여 있는 대전을 컨트롤타워(본청)로 설정하고 사천은 제작과 발사장, 전남 고흥은 시험평가를 담당하는 분원으로 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이 우주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인프라스트럭처를 바탕으로 도심항공교통(UAM)이나 위성 탑재체, 우주태양광 등 우주 연관 사업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방효충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우주항공 강국을 향한 도전, 드론방산 허브 대전·세종의 선도 역할 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문했다. 방 교수는 "우주 분야의 경우 위성뿐 아니라 통신과 영상 등 탑재체, 로봇, UAM, 드론, 인공지능(AI), 우주태양광 등 다양한 연관 산업으로 파생될 수 있다"면서 "R&D에 머무른다면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이 어렵고, 우주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방 교수는 "대전·세종권 역시 연구단지 중심에서 비즈니스 중심으로 체질을 바꿔야만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고 국내를 넘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산학연 협의체를 구성하고 R&D와 사업화를 병행하는 클러스터 구축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