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3분기 7593억원 적자… “전례 없는 수요 급감”(종합)
2분기 연속 적자… 전방 수요 절벽· 판가 하락 영향
매출은 6조7714억원, 전년 동기 대비 6.26% 감소
“LCD TV 국내 생산 종료 속도낼 것”
LG디스플레이는 올해 3분기 매출 6조7714억원, 영업손실 7593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26%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분기 4883억 적자에 이어 2분기 연속 적자를 누적했다. LG디스플레이의 올해 연간 적자 규모에 대한 증권사 컨센서스는 현재 1조1859억원에 이른다.
LG디스플레이의 3분기 영업손실 규모는 증권사 전망치보다 훨씬 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LG디스플레이가 올해 3분기 영업손실 505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거시 경제가 급격하게 악화하면서 실수요가 감소한 데 더해 세트(완성품) 수요도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전체 실적이 부진했다. 특히 하반기 패널 수요가 전례 없이 급감했고, LG디스플레이 주력 분야인 중형과 프리미엄 TV용 패널 판가가 하락했다. 여기에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도 바닥을 찍었다.
LG디스플레이는 거시 경제 변동성과 전방산업의 수요 부진 장기화에 대응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하이엔드 LCD와 수주형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구조 재편을 가속화하고, 재무건전성 강화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대형 사업 부문에서는 질적 성장을 추진, 제품 고도화 및 운영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 확보의 기반을 마련할 전략이다. 65인치 이상 초대형 OLED와 게이밍 OLED 등 차별화된 제품을 확대하고, 원가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
경쟁력 차별화의 여지가 크지 않고, 시황에 따른 성과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LCD TV 부문의 국내 생산 종료 계획을 앞당기고, 중국에서의 생산도 단계적으로 축소한다.
중형 사업 부문에서는 하이엔드 LCD 제품을 중심으로 차별화 경쟁력 강화를 통해 사업의 변동성을 줄여갈 계획이다. 태블릿 PC와 WOLED 기반 모니터 등 중형 OLED 시장을 선점하고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준비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소형 및 자동차용 사업 부문에서는 스마트폰 신모델 공급을 시작했으며, 향후 하이엔드 제품을 중심으로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차별화된 라인업과 솔루션을 바탕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 워치 및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격차를 확대하며 위상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한계사업 조정 가속화, 필수 경상 투자 이외의 투자와 운영 비용 최소화, 재고 관리 강화, 업황과 연계한 과감하고 탄력적인 운영 전략을 실행해 신속하게 재무구조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시황 부진이 장기화되거나 더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사업 부문별로 사업구조 재편을 가속화하고, 강도 높은 실적 개선 노력을 해 나갈 것이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