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 첫 달 탐사선 이름은 '다누리'…올해 8월 미국서 발사

mohana19807 2022. 5. 23. 15:05

[경향신문]

 

한국 최초 달 탐사선의 이름이 ‘다누리’로 정해졌다. 다누리는 미국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발사체에 실려 올해 8월 플로리다주에서 발사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국민 명칭 공모전을 거쳐 한국에서 처음 발사하는 달 탐사선의 명칭을 ‘다누리’로 선정했다며 이날 대전 한국우주연구원에서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다누리는 순우리말인 ‘달’과 누리다의 ‘누리’가 더해진 이름이다. 달을 남김없이 모두 누리고 오길 바라는 마음과 최초의 달 탐사가 성공하기를 기원하는 뜻이 담겼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달 탐사선 이름을 짓기 위해 지난 1월 26일부터 2월 28일까지 열린 대국민 명칭 공모전에는 모두 6만2719건이 접수됐다.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에 ‘누리호’라는 이름을 붙인 2018년 명칭 공모전의 응모 건수 (1만287건)보다 6배 이상 많았다. 달 탐사선 명칭 공모 심사는 전문가와 국민 1000명의 선호도 조사를 통해 진행됐다.

달 탐사선 이름으로 다누리를 제안해 대상을 받은 카이스트(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생 하태현 씨는 “응모작이 생각지 못하게 한국 최초 달 탐사선의 명칭으로 선정돼 기쁘다”며 “이번 탐사가 한국 과학기술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 씨에게는 과기정통부 장관상이 수여되며, 향후 미국에서 진행하는 다누리 발사를 참관할 기회가 주어진다.

현재 다누리는 올해 8월 발사를 위해 마지막 우주환경 시험을 완료했으며, 발사장 이송을 위한 마무리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다누리는 발사된 뒤 지구에서 달을 향해 넉달 반동안 우주 비행을 해 지구에서 150만㎞까지 멀어진다. 이동 기간과 비행 거리가 길지만 지구와 달,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날기 때문에 연료 소모가 적다. 이 같은 비행을 마치고 나면 올해 12월에 달 상공 100㎞의 원 궤도로 진입한다. 그러고 난 뒤 내년 1월부터 12월까지 달 관측 임무에 나선다.

 


다누리의 총중량은 678㎏이며, 관측 장비가 6개 들어간다. 미래에 달 착륙선이 내릴 후보지를 고르기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 표면입자를 분석하기 위한 광시야 편광 카메라(한국천문연구원), 달 표면 자원 탐사를 위한 감마선 분광기(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달 주변 자기장 세기를 재는 자기장 측정기(경희대), 심우주탐사용 우주인터넷 시험을 위한 우주인터넷 탑재체(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한국 연구진이 만들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달 극지방의 영구음영지역에서 얼음을 찾아내기 위한 ‘섀도우캠’을 개발해 다누리에 실을 예정이다.

다누리는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개발한 발사체인 팰컨9에 실려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국 우주군 기지에서 올해 8월 2일 오후 7시 37분(현지 시간)에 발사된다. 한국 시간으로는 3일 오전 8시 37분이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역사적인 달 탐사선의 이름을 지어주기 위해 뜨거운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인사를 드린다”며 “탐사선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