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또 해답 못 찾은 바이든-푸틴…"교민들 우크라 떠나라" 긴급명령

mohana19807 2022. 2. 14. 12:23

[미러 정상 통화, 성과 없이 끝나
우크라 시민들, 침공 위협에 맞서 거리로 나서]

우크라이나 사태를 두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통화를 나눴지만 긴장 완화를 위한 돌파구는 마련하지 못했다. 러시아는 거듭해서 우크라이나 침공설을 부인하고 있지만, 군사 충돌 긴장감은 갈수록 고조되는 모양새다. 각국은 우크라이나 내 자국민을 대상으로 즉시 철수할 것을 권고했고,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러시아와 맞설 준비가 돼 있다며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62분간 통화로 우크라이나 사태를 논의했다. 이번 통화는 지난해 1230일 전화 통화 이후 44일 만에 이뤄졌으며, 푸틴 대통령의 요청으로 성사됐다.

 


러시아와 서방 국가들 간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 진행된 이번 통화 역시 아무런 성과없이 끝났다. 미 고위 당국자는 언론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모든 주제를 다뤘지만, 최근 몇 주간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는 근본적인 변화가 없었다고 밝혔다. 다만 두 정상은 계속해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양국의 팀들이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감행한다면 동맹국들과 함께 단호히 대응할 것이며, 러시아가 심각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또 우크라이나 침공 시 광범위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러시아의 위상이 약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와 외교적으로 문제를 풀 준비가 돼 있지만 다른 시나리오에도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정상 통화에 대해 대화 내용이 균형 잡히고 효율적이었다면서도 "미국의 히스테리가 극에 달했다"고 평가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담당 보좌관은 "미국이 러시아의 침공 계획에 대한 히스테리를 인위적으로 증폭시키고 침공 날짜까지 적시하고 있다"며 "러시아 영토 내에서 이뤄진 우리 군의 이동에 대해 긴장감을 고조시키려는 시도가 몇 달간 지속되고 있는데 지난 며칠간 이 상황이 터무니없는 지경까지 부풀려졌다"고 지적했다.

 


현재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10만명이 넘는 러시아군이 배치돼 있고, 러시아의 침공 시점이 오는 16일이라는 구체적인 날짜까지 거론된 상태다. 하지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의도는 없다고 계속해서 부인하고 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우크라이나 침공일을 특정한 미국 언론 보도가 '잘못된 정보'라며 "미국이 왜 언론에 이런 정보를 제공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전쟁 발발에 대한 위기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면서 각국은 자국민에 대한 출국 권고를 내리고 있다. 미국은 물론 영국, 독일,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의 침공 위협이 커졌다며 자국민에게 우크라이나를 떠날 것을 요청했다. 한국 역시 우크라이나 전역을 '여행 금지' 지역으로 지정하고, 현지에 체류 중인 국민들에게 철수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침공 임박설을 부인한 러시아도 '서방국의 도발 가능성'이 우려된다며 우크라이나 주재 대사관 일부 직원의 철수를 명령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혼란을 막기 위해 일단 내부 단속에 나서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가 침공할 것이라는 확실한 정보는 없다"며 "지금 국민의 가장 큰 적은 '공포'다. 지금까지의 정보들은 공황만 불러일으킬 뿐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수천 명의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이날 '전쟁은 답이 아니다'는 문구를 들고 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국가를 부르고 국기를 흔들며 수도 키예프 거리를 행진했다. 어린 두 자녀와 함께 행진에 참여한 나자르 노보셀스키는 AFP에 "우리는 두렵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나왔다"고 말했다. 학생 마리아 셰르벤코는 "공포에 떠는 것은 현 상황에서 쓸모가 없다"며 "우린 독립성을 위해 단결하고 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이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도 100분가량 통화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게 진실한 대화는 긴장 고조와 양립할 수 없다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서방은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의 구상에 대한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실질적인 대응이 부족했음을 지적했다.

러시아는 그간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배제를 포함한 나토의 동진 금지, 옛 소련국에 나토의 공격 무기 배치 금지 등 안보보장을 요구해 왔다. 이에 미국 등 서방은 나토의 개방성을 내세워 러시아의 요구에 선을 긋는 대신 긴장완화책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